본문 바로가기
건강식품

조개 중 가장 귀하다고 불리는 강장식품 전복

by 건강한 꿀정보 2022. 10. 1.
반응형

전복


진시황이 불로장생과 정력 강화를 위해 널리 구한 것 중에 전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전복은 영양가가 높고 귀한 식품으로 평가되어왔지요. 특히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에서도 전복이 생산됐지만, 우리나라 전복을 제일로 여겼기에 서복이 제주도에 와서 전복을 가져다 바쳤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해산물 중에 전복과 함께 해삼, 상어 지느러미, 생선 부레 등이 대표적인 강장식이지요. 《삼국지》에 나오는 조조도 매우 좋아했다고 합니다.


진시황이 전복을 즐겨 먹었다는 근거는?
《사기》 <진시황본기>에 음식으로는 유일하게 전복이 나옵니다. 진시황이 사구에서 죽었는데, 그의 죽음이 알려질 경우 수습할 수 없는 혼란이 초래될 것이기에 감추려고 했습니다. 마차에 진시황의 시신을 넣은 관을 실었는데, 황제에게 전달할 먹을 것을 싣고 가는 것처럼 꾸몄던 것이지요.
그런데 때는 7월이고 멀리 이동했으므로 시신이 부패되는 냄새가 진동했습니다. 그래서 일석포어(一石魚), 즉 전복 10 말을 마차에 함께 실었습니다. 전복이 상한 냄새로 시신의 부패된 냄새를 감추었던 겁니다. 행여 난폭한 진시황의 성미를 건드릴까 봐 그 누구도 감히 마차 속을 확인해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전복의 효능은?
전복은 조개류 중에서 가장 맛이 좋고 귀한 건강식품입니다. 약간 서늘한 성질이며 주로 간장에 작용합니다. 정기를 돕고 간장과 신장의 허약을 보충하며, 혈을 보양하고 간을 부드럽게하는 효능이 있어 여성이 혈이 부족하여 생리가 나오지 않거나 젖이 부족한 경우에 좋습니다. 음기를 돕고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어 음기가 허약해져 폐결핵을 비롯하여 뼛속 깊은 곳으로부터 열이 오르고 잠잘 때 식은땀을 흘리는 경우에 좋습니다.


전복에는 어떤 영양소가 들어 있을까?
고단백 저지방·저칼로리 식품입니다. 그래서 당뇨병·고혈압 등 성인병에 매우 좋으며 특히 노약자나 허약한 사람에게 영양 보충과 원기 회복 식품으로 우수하지요. 수산물 중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타우린은 간장의 해독 기능 강화시력 회복·당뇨병 예방·담석 용해·콜레스테롤 상승 억제·심장 기능 향상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또 비타민 A가 많아 원기 회복피로 회복 등에 좋고, 콜라겐이 들어 있어 관절과 피부에 좋습니다.
아르기닌이라는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데, 노화 방지 호르몬이라 불리는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정자 생성과 성욕·발기에 관여하여 성기능을 강화시켜줍니다. 또한 글루탐산 류신 등의 아미노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독특한 맛을 낼 뿐만 아니라, 철·칼슘·마그네슘·구리 등의 무기질과 여러 가지 비타민의 함량이 풍부합니다. 간 기능을 강화하는 데도 탁월한 효능이 있어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에게 좋습니다.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정기를 돕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어 눈이 피로하고 흐릿해져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 좋습니다. 그래서 전복의 별명이 눈을 밝게 한다는 의미로 명목어(明目魚)입니다. 또한 서유구 선생의 형수인 빙허각 이씨가 지은 생활 백과사전인 <규합총서>에 전복을 일명 천리광이라 했습니다. 눈에 얼마만큼 좋은가 하면 천 리까지 볼 수 있게 해준다는 말인데, 시신경 피로 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습니다.
특히 전복의 껍데기는 열을 내리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는 약으로 쓰여왔는데, 이름이 석결명(明)입니다. 과로해서 음기가 부족해져 몸이 허약해지고 시력이 떨어진 경우에 원기를 더해주어 피로를 회복시키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전복의 껍데기를 잘 씻어 말린 다음 전복과 함께 푹 삶아 먹으면 됩니다.


조선시대에도 전복이 귀한 식재료로 사용되었을까?
조선 최고의 궁중 음식이었던 잡탕(湯)에 들어갔고, 전복을 주재료로 만든 추복탕(湯)이라는 탕이 있는 등 궁중 요리에서 최고의 식재료였습니다. 추복은 전복살 밑으로 칼을 넣어 뗀 다음 내장을 도려내고 소금으로 잘 비벼 깨끗이 헹군 뒤, 두꺼운 냄비에 얇게 저민 전복을 넣고 물을 부어 중간 불에서 푹 곱니다. 국물이 뽀얗고 전복이 연하게 물러지면 뜨거울 때
그릇에 담고 가늘게 썬 파와 소금·후춧가루를 넣습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에서 사용된 전복탕의 재료는 1877년까지는 전복·묵은 닭·달걀·미나리·잣 등이었고, 양념은 간장·후추·깨소금 등이었으며, 1892년 이후부터는 전복·해삼·표고버섯·미나리·달걀·잣·쇠고기·소의 내장과 뼈 등이었습니다. 쇠고기와 내장·뼈 등을 넣어 국물을 진하게 끓이고 밀가루를 넣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복이 어울리는 경우와 주의해야 하는 경우는?
서늘한 성질이므로 몸에 열이 많아 자주 달아오르고 입과 목이 자주 마르는 사람, 자주 어지럽고 뒷목이 당기는 사람에게 좋습니다. 반면에 몸이 냉하고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 손발이 차고 아랫배가 냉한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정약전 선생의 <자산어보>에는 "살코기는 맛이 달아서 날로 먹어도 좋고 익혀 먹어도 좋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말려서 포로 만들어 먹는 것이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전복을 찌거나 말리는 과정에서 타우린의 함량이 더욱 많아진다고 합니다. 2,200년 전 서복이 제주도의 전복을 황궁이 있는 시안까지 싱싱한 채로 가져갈 수는 없었지요. 햇볕에 말려서 가져갔을 겁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