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부터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는 다시마와 함께 미역도 풍부하게 생산되면서 품질도 좋아 주변에 명성을 떨쳤습니다. 사실 삼국시대 때만 하더라도 다시마와 미역의 구별도 없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고려시대에도 신분의 높고 낮음을 떠나 모두 미역을 잘 먹었다는 기록이 사신으로 다녀간 서긍이라는 송나라 사람이 지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있다고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중국 사신이 오면 무역 품목으로 미역을 요구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미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산모는 반드시 미역국을 먹는다는 사실이지요. 외국과는 다르게 우리나라 산모는 최소한 1개월은 미역국을 먹어야 하니 아기를 많이 낳은 부인은 생일날 미역국도 지겹게 느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도 줄기차게 미역국을 먹고 있는 이유가 뭘까요?
우리나라 산모가 무조건 미역국을 먹어온 이유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규경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산모가 미역을 먹은 것과 관련된 전설 같은 얘기가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어떤 사람이 바다에서 수영을 하던 중에 새끼를 갓 낳은 고래가 물을 들이마실 때 뱃속으로 빨려 들어갔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고래의 뱃속에는 온통 미역이 들어 있더랍니다. 출산한 고래의 몸속에 잔뜩 쌓여 있던 나쁜 피가 미역 때문에 정화되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미역이 산모에게 좋은 약이 되는 것임을 알고는 산모에게 미역국을 먹이기 시작하여 풍속이 되었다는 겁니다.
산후에 미역국을 먹는 풍속
미역국이 대표적인 산후조리 음식이지만, 예전에는 아기를 낳으면 바로 미역국을 먹지 않았습니다. 먼저 산모의 머리맡에다 미역국과 흰쌀밥 그리고 냉수 한 그릇을 떠놓아 삼신상을 차려 삼신할머니에게 바치고 치성을 드렸습니다. 그다음에 산모가 먹었는데 그것이 '첫국밥'입니다. 아이를 무사히 낳게 해준 데 감사하고 앞으로도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지켜달라고 치성을 드린 뒤에 미역국을 먹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해산달이 다가오면 미역부터 준비했는데, 해산미역은 값을 깎지 않았으며 꺾지 않고 새끼줄로 묶어두었습니다. 값을 깎으면 아기의 수명이 줄고, 꺾으면 산모가 난산을 한다는 속설이 있어서랍니다. 아기를 낳으면 미역국 세 그릇을 삼신에게 올리고 삼칠일(21일) 동안 미역국을 먹었습니다. 우리나라 고대 신앙에서 삼신할머니는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생명의 여신이기에 아기를 점지해달라고 빌었고, 무사 출산을 감사드렸으며, 아울러 생일에도 건강 장수를 빌며 미역국을 제물로 올렸던 겁니다.
미역국이 산모에게 도움이 되었을까?
우리 조상들은 미역을 산후 선약으로 간주했습니다. 한의학적으로 보면 미역이 어혈, 즉 피가 뭉쳐 있는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커서 산모의 어혈을 제거하고 늘어진 자궁을 수축시켜 정상 상태로 해주므로 산후 회복에 매우 좋기 때문입니다.
영양학에서는 미역은 요오드가 풍부하기 때문에 산모에게 좋다고 하지요. 요오드는 산후에 늘어난 자궁을 수축시키고 모유가 잘 나오게 하며 피를 멎게 하는 데 유용한 미네랄입니다. 출혈로 빠져나간 철분과 아기에게 빼앗긴 칼슘도 많이 들어 있는데, 칼슘은 출산 후 흥분된 신경을 안정시키고 자궁 수축과 지혈을 도와줍니다. 아울러 미역을 많이 먹은 산모의 젖을 먹는 아기는 갑상선호르몬 생성이 많아지는데, 갑상선호르몬은 10세 전까지는 성장호르몬과 유사한 역할을 하므로 성장을 촉진시켜줍니다.
중국에서도 산모가 미역국을 먹을까?
중국의 산모는 미역국을 먹지 않고 대신 닭국을 끓여 먹습니다. 특히 오골계, 즉 검은색 닭을 산후조리에 먹는데 특히 수탉을 먹었답니다. 수탉의 양기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고기도 먹고 국물에 쌀을 넣고 닭죽도 끓여 먹습니다.
그런데 미역국은 출산 뒤부터 먹은 것이 아니라 출산하기 한 달 전부터 먹었습니다. 태아가 너무 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지요. 그렇다고 임신 중에 너무 일찍 먹어서는 안 됩니다. 미역이 단단한 것을 부드럽게 하고 담과 어혈을 삭여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태를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산 당월이 되어 먹기 시작했습니다.
미역이 산모에게 좋은 것 외에 다른 효능은?
달고 짠맛에 찬 성질로서 해채海菜)·자채(紫菜)·자영(紫英)이라 하는데, 단단한 것을 부드럽게 하고 담을 삭여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갑상선 질환을 치료하고 기가 맺힌 것을 풀어줍니다. 또한 번열을 내리고 대변과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찔끔거리며 아프게 나오는 임증의 치료에도 좋습니다. 그리고 수분 대사를 촉진하여 부기도 없애줍니다.
미역은 피를 조화시켜주고 심장을 맑게 하므로 답답해서 잠이 오지 않는 경우에도 좋습니다. 만약 열기로 인하여 목이 막힐 때는 즙을 내어 마시면 됩니다.
미역이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될까?
성인병의 원인이 풍기와 담·열·어혈인데 미역은 기가 맺힌 것과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크고 담을 삭여주는 작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피를 맑게 하여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떨어뜨리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기에 비만을 방지해주므로 동맥경화는 물론이고 고혈압·심근경색·협심증·당뇨병·중풍 같은 성인병의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습니다. 비타민 A가 들어 있어 눈 건강에 좋고, 베타카로틴이 들어 있어 항산화 작용으로 항암 효과도 있으며, 또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도 있습니다. 칼로리도 낮지요.
미역은 많이 먹어도 괜찮을까?
한의서에서는 너무 많이 먹지는 말라고 했습니다. 특히 몸이 냉하고 비,위장이 허약하거나 대변이 묽은 사람은 미역을 주의해야 합니다. 반면에 열이 많고 담이 잘 결리며 응어리가 잘 생기는 사람에겐 좋습니다.
'건강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박증에 대한 무엇일까에 대한 정의 및 강박증이 생기는 이유 (1) | 2023.10.10 |
---|---|
노약자에게 좋은 공해예방음식 김 (1) | 2022.11.14 |
조개 중 가장 귀하다고 불리는 강장식품 전복 (1) | 2022.10.01 |
뼈에 좋은 게, 보신제 해삼, 소화에 좋은 붕어 (2) | 2022.09.22 |
음기를 돕는 스태미나식 오징어와 성기능 장애에 효과적인 새우 (1)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