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혈을 보양하고 음기를 돕는 스태미나식
오징어를 너무 좋아해서 오징어 굽는 냄새가 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사람이 있다고 하지요. 오징어는 땅콩을 말아서 먹어도 좋고 소주 안주로도 제격인데, 오징어만 먹으면 반드시 배탈이 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오징어의 어떤 특성 때문에 그럴까요?
오징어는 어떻게 몸에 좋을까?
검은 먹물을 내뿜으므로 묵어(魚)라고 하고, 물 위에 떠 있는 것을 까마귀가 보고는 죽은 고기인 줄 알고 쪼려 할 때 재빨리 물속으로 끌고 들어가서 먹는다고 해서 오적어(烏賊魚)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짠맛에 중간 성질로서 혈을 보양하고 음기를 도와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스태미나식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동의보감에는 기운을 돕고 의지를 강하게 하며, 오래 먹으면 정액을 더해주고 자식을 낳게 한다고 했습니다. 정혈이 많이 소모되어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 유정·조루 및 노인의 체력 허약에 효과적입니다. 혈이 부족하여 어지러울 때는 메추리알(鶴鶉蛋, 암순단)과 함께 삶아 먹으면 좋습니다.
오징어를 여성이 먹어도 좋을까?
여성에게 가장 이롭습니다. 간장의 혈을 도와 보혈하는 효능이 있으며 신장의 음기를 보충해주므로 혈이 부족하여 월경이 끊어졌거나 월경량이 적은 경우 및 자궁 출혈·냉증 (대하)에 좋습니다. 그때는 오징어와 도인(仁복숭아씨)을 함께 삶아 먹으면 됩니다. 월경이 순조롭지 못한 경우에 당귀와 함께 달여 먹고, 만약 산후에 젖이 부족할 경우에는 돼지고기와 함께 삶아 먹으면 좋습니다.
오징어를 많이 먹어도 탈이 없을까?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 영양 식품이지요. 그러나 콜레스테롤도 어패류 중에서 가장 많이 들어 있습니다. 특히 오징어 다리에 상당히 많으므로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오징어는 소화 장애를 잘 일으키는데, 마른 오징어를 먹으면 뱃속에서 물기를 흡수하여 부피가 커지고 소화가 잘되지 않으므로 한꺼번에 많이 먹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몸이 냉하고 비위장이 약한 소음인 체질은 주의해야 합니다.
한약재로 사용하는 오징어 뼈
한약재로서 오적골(烏賊骨) 또는 해표초(海)라고 하는데 짠맛에 따뜻한 성질입니다. 가루로 만들어 먹으면 위·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큽니다. 입에 신물이 올라오거나 공복에 속이 쓰린 경우에 먹으면 위산의 분비가 많은 것을 억제하며, 지혈 및 지통 효과가 있으므로 속쓰림과 복통이 출고 대변 색도 정상으로 돌아오며 입맛도 회복됩니다.
지혈 효과가 크므로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날 경우,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에 좋으며, 여성의 자궁 출혈이나 냉증(대하)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혈이 말라버려 월경이 끊어진 경우에도 좋으며, 뱃속에 응어리가 있는 것을 풀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외상으로 출혈이 있을 때 오징어 뼈의 가루를 상처에 바르면 지혈이 됩니다. 그러나 혈병(血病)으로 열이 많은 경우에는 피해야 합니다.
오징어 뼈를 약으로 쓸 때는 어떻게 할까?
우선 오징어 뼈에서 소금기를 없앤 뒤 햇볕에 말립니다. 그런 다음 불에 구워 누런빛이 나면 가루로 만듭니다. 복통이 있으며 신물이 올라올 때는 해표 20g, 패모(母) 8g, 감초 8g을 함께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8g씩 먹으면 됩니다. 위장 출혈이 있을 때는 해표초와 백급(白)을 함께 가루 내어 한번에 6g씩 먹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위산과다와 위·십이지장궤양에 오패산(烏貝散)을 쓰는데, 해표초를 위주로 패모 백급을 함께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4g씩 공복에 먹습니다.
새우
성기능 장애에 효과적인 스태미나 식품
새우는 오래전부터 스태미나 식품으로 정평이 나 있지요. 물론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도 풍부합니다. 그래서인지 새우철이 되면 서해안 쪽으로 새우를 먹으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 차가 엄청 막히곤 합니다.
남성에게 힘을 주는 새우
새우는 따뜻한 성질로서 신장을 보하고 양기를 강하게 하므로, 한의서에 장양도(道) 혹은 흥양(陽)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양위, 즉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치료하고 정액을 흘리거나 소변을 찔끔거리는 병증은 물론이고 조루증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허리와 뼈를 튼튼하게 하고 뇌수를 보충하는 약효도 있습니다.
새우는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
새우를 술에 담가 죽인 뒤에 구워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산후에 기와 혈이 부족하여 젖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돼지족발과 함께 끓여 먹으면 젖이 잘 나오게 됩니다.
새우를 많이 먹어도 탈이 없을까?
새우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혈을 상하게 하며 풍과 열을 일으키고 응어리나 총기 부스럼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사람은 천식이나 두드러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높은 사람도 적게 먹어야겠지요.
'건강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개 중 가장 귀하다고 불리는 강장식품 전복 (1) | 2022.10.01 |
---|---|
뼈에 좋은 게, 보신제 해삼, 소화에 좋은 붕어 (2) | 2022.09.22 |
콘드로이틴이 들어 있는 코가 뻥 뚫리고 싶다면 먹는, 홍어 (2) | 2022.09.21 |
얼렸다. 녹였다 반복해서 말린 영양식, 과메기 (1) | 2022.09.21 |
공진단의 효능과 장단점 (0) | 2022.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