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이야기11 금리와 채권의 관계 및 금리의 활용 1) 금리와 채권 가격은 역관계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려감 채권시장이 있으면 그 반대편에 자금시장이 있다. 채권을 공급하는 정부나 기업은 돈이 필요해서 채권을 발행하기 때문에 자금의 수요자이다. 반대로 채권을 사는 가계나 금융회사는 돈을 주고 채권을 사는 자금의 공급자이다. 자금의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금리가 결정된다. 그런데 한국은행이 통화 공급을 늘렸을 때 단기적으로 유동성 효과에 의해 금리가 떨어지지만 소득효과와 피셔효과에 의해 금리가 더 오른다는 것이 경제이론이다. 금리 하락기에 채권에 투자해야 한다. 금리와 채권가격은 역의 관계에 있다. 우리도 여유자금의 일부를 채권에 투자해야 한다. 참고로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자금순환을 보면 2021년 6월 말 우리나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금융.. 2022. 8. 29.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이유 1)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수단, 기준금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왜 올리고 내릴까? 한국은행은 어떤 때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또 어떤 시기에는 금리를 인하하기도 한다. 그 이유를 찾기 위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목표를 먼저 알 필요가 있다. 보통 통화정책이란 한 나라에서 화폐의 독점적 발행권을 지닌 중앙은행이 경제 내에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나 가격에 영향을 미쳐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성장을 이루어 나가려는 일련의 정책을 말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법 제1조 제1항에는 한국은행을 설립하고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법의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물가안정이라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2022. 8. 28. 금리의 뜻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1)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의 기원은 신용에 금리의 기원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금리는 '신용' 때문에 생긴 것이다. 신용의 국어 사전적 의미는 '외상값, 빚, 급부 따위를 감당할 수 있는 지급 능력으로 소유 제한의 화폐적 기능'이다. 한국은행도 분기마다 '가계 신용'이라는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낸다. 쉽게 말해 가계 신용이란 가계가 금융회사에 빌린 돈 즉 부채이다. 가끔 언론에서 가계 부채가 매우 많다는 보도가 흘러나오는데 2021년 2분기에는 1,800조 가량에 이르렀다. 신용에는 거래 상대방이 있다. 가계 신용에서 가계는 채무자이고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는 채권자이다. 여기서 돈을 빌린 대가로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지불하는 돈이 금리이다. 금리를 받고 뭔가를 빌려주는 행위는 돈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2022. 8. 2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