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통화위원회2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이유 1)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수단, 기준금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왜 올리고 내릴까? 한국은행은 어떤 때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또 어떤 시기에는 금리를 인하하기도 한다. 그 이유를 찾기 위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목표를 먼저 알 필요가 있다. 보통 통화정책이란 한 나라에서 화폐의 독점적 발행권을 지닌 중앙은행이 경제 내에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나 가격에 영향을 미쳐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성장을 이루어 나가려는 일련의 정책을 말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법 제1조 제1항에는 한국은행을 설립하고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법의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물가안정이라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2022. 8. 28.
금리의 뜻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1)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의 기원은 신용에 금리의 기원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금리는 '신용' 때문에 생긴 것이다. 신용의 국어 사전적 의미는 '외상값, 빚, 급부 따위를 감당할 수 있는 지급 능력으로 소유 제한의 화폐적 기능'이다. 한국은행도 분기마다 '가계 신용'이라는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낸다. 쉽게 말해 가계 신용이란 가계가 금융회사에 빌린 돈 즉 부채이다. 가끔 언론에서 가계 부채가 매우 많다는 보도가 흘러나오는데 2021년 2분기에는 1,800조 가량에 이르렀다. 신용에는 거래 상대방이 있다. 가계 신용에서 가계는 채무자이고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는 채권자이다. 여기서 돈을 빌린 대가로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지불하는 돈이 금리이다. 금리를 받고 뭔가를 빌려주는 행위는 돈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2022. 8. 27.
반응형